본문 바로가기
★관리

기관절개술(Tracheostomy) 총정리

by 친절의힘 2025. 1. 30.
728x90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이란?

기관절개술은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목 앞쪽(경부)을 절개하여 기관(Trachea)에 직접 튜브를 삽입하는 외과적 시술입니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기계환기가 필요하거나 기도 폐쇄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됩니다.

기관절개술의 적응증

기관절개술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시행될 수 있습니다.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도 폐쇄(Airway Obstruction)
    • 종양, 감염, 외상 등에 의해 상기도가 좁아진 경우
    • 중증 후두부종(알레르기 반응, 화상 등)
  • 장기적인 기계환기(장기 인공호흡)
    • 중환자실에서 장기간 인공호흡기 사용이 필요한 환자
    • 신경근육계 질환(루게릭병, 중증 근무력증 등)으로 자발호흡이 어려운 환자
  • 분비물 배출 곤란
    • 뇌졸중, 척수손상 등으로 인해 가래 배출이 어려운 경우
  •  기도 보호 필요
    • 의식저하로 인해 흡인 위험이 높은 환자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 관리방법

  • 기본적인 관리
    • 기관절개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
    • 분비물(가래)이 차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석션(Suction, 흡인) 시행
    • 기관절개관 교체 주기를 준수하여 감염 예방 (일반적으로 교체 주기는 한 달)
  • 석션(흡인) 방법
    • 손을 깨끗이 씻고 멸균 장갑 착용
    • 석션 카테터를 멸균 식염수로 윤활 후 삽입
    • 10~15초 이내로 흡인하고 30~60초 간격 유지
    • 환자의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기관절개 부위 소독
    • 생리식염수 또는 멸균된 거즈를 이용하여 부위를 닦아줌
    • Y거즈를 기관절개관사이에 두어 감염되지 않게 유지
    • 감염 예방을 위해 최소 하루 1~2회 소독
728x90

기관절개술의 장점

기관절개술은 특정 환자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 기도 확보가 용이: 장기적인 기도 유지가 가능
  • 호흡 부담 감소: 인공호흡기의 저항을 줄여 환자의 호흡 부담을 경감
  • 분비물 관리 용이: 석션을 통한 가래 배출이 용이
  • 구강 및 후두 손상 방지: 기존의 삽관(Intubation)보다 점막 손상이 적음
  • 발성 가능: 일부 환자는 발성 밸브 사용을 통해 말할 수 있음

기관절개술의 단점 및 부작용

기관절개술은 장점이 많지만, 단점과 부작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 단점
    • 관리가 필요하며 감염 위험 증가
    • 환자가 스스로 가래 배출을 어려워할 수 있음
    • 장기간 유지 시 기관협착(Tracheal Stenosis) 가능
  • 부작용
    • 감염: 기관절개 부위 감염 또는 폐렴 발생 가능
    • 출혈: 시술 중 또는 관리 과정에서 출혈 발생 가능
    • 기관손상: 장기 사용 시 기관연화증(Tracheomalacia) 발생 가능
    • 기도 폐색: 가래가 기관절개관을 막을 경우 호흡곤란 유발

결론

기관절개술은 장기적인 기도 확보와 호흡 보조가 필요한 환자에게 필수적인 시술입니다. 적절한 적응증에 맞춰 시행되며,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환자는 감염 예방과 원활한 분비물 배출을 위해 의료진과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관절개술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거나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면,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320x100